정신역동이론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의 심리성적 발달_구강기,항문기,남근기,잠복기,생식기사회복지학 2022. 10. 25. 19:55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성적인 욕구와 관련하여 발달한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성적 에너지를 '리비도'라고 정의했다. ※리비도 -인간행동과 성격을 규정하는 에너지의 원천이며 성적 에너지를 말한다. -리비도의 작동원리를 경험적, 과학적으로 증명해내는 것은 한계가 있다. -리비도가 집중되면 성적 긴장이 발생하고, 이 긴강을 해소함으로써 만족과 쾌감을 느낀다. -프로이트는 성의 개념엔느 신체적 사랑, 정서적 충동, 자기애,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 그리고 우정의 감정까지 포함된다고 본다. -삶의 본능 중 성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성 본능이므로 에로스와 리비도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프로이트는 리비도 개념을 초기에는 자아본능(자기보전의 본능)에 대립하고 있는 성 본능(종족보존의 본능)..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_ 의식, 전의식, 무의식, 자아, 초자아사회복지학 2022. 10. 24. 16:14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의 주요 개념 1. 의식 수준 : 의식, 전의식, 무의식 프로이트는 인간의 마음이 사고, 감정, 본능, 충동, 갈등, 동기로 채워져 있다고 하였다. 이 대부분은 무의식 혹은 전의식에 위치하는데, 전의식은 의식의 영역으로 쉽게 바뀔 수 있지만, 무의식은 의식의 영역으로 쉽게 바뀌지 않는다. 의식 -우리가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바로 그 순간에 알아차릴 수 있는 경험과 감각들을 뜻한다.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고, 맛보는 것고 같은 여러 가지 감각을 인식하고 슬픔과 고통 같은 것을 그 순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정신생활의 영역, 깨어있을 떄 작용하는 영역이다. -새로운 생각이 들어오고 오래된 생각이 물러나면서 의식의 내용은 계속 변한다. 프로이트는 우리가 지각하고 있는 의식은..
-
프로이트의 생애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의 특징사회복지학 2022. 10. 24. 15:24
1. 프로이트의 생애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는 1856년 오스트리아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4살 때 비엔나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삶의 대부분을 보냈다.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났으며 어머니의 지지와 많은 격려를 받고 자랐다. 1873년 비엔나 대학의 의학부에 입학한 후 1881년에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신경과 의사로 활동하였다. 1885년에는 신경의학자인 채코트와 함께 최면을 연구하면서 최면적 암시에 의해 히스테리 신경증의 증상을 유발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1890년대 중반부터 신경증은 부적절한 성적 발달의 문제라고 생각하게 된다. 1895년에 「히스테리에 관한 연구」를 브로이어와 함꼐 집필하였고, 1897년에는 자신의 신경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