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
-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_시민권론, 음모론, 확산이론사회복지학 2022. 11. 13. 11:46
사회복지정책이란 사회복지의 실현, 즉 전체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 인간의 복리나 행복, 안녕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가가 수행하려는 미래의 활동 및 행동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을 설명하는 여러가지 이론들을 설명하겠다. 1. 시민권론 시민권론은 마샬(Marshall) 등이 주장했는데, 시민권이란 시민에게 부여되는 권리와 권력을 향유할 수 있는 지워로서, 18세기에는 사유재산권 및 법 앞에서의 평등, 표현·사상·신념 등 개인의 자유 등과 같은 공민권(civil right), 19세기에는 투표권 혹은 참정권과 같은 정치권(political right), 20세기에는 최소한의 경제적 복지와 인간다운 생활이 보장에 대해 정부에 서비스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 사회권(soci..
-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_사회양심이론, 합리론, 수렴이론사회복지학 2022. 11. 3. 16:14
사회복지정책이란 사회복지의 실현, 즉 전체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 인간의 복리나 행복, 안녕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가가 수행하려는 미래의 활동 및 행동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을 설명하는 여러가지 이론들을 설명하겠다. 1. 사회양심이론 사회양심이론은 베이커(J. Baker) 등이 주장했는데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 사회적 양심의 증대 때문이라고 보는 이론이다. Hall은 사회복지란 다른 사람들의 불행을 도우려는 사회적 양심의 발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복지사각지대 등에 양질의 사회복지정책을 통한 사회복지를 증대시키는 것은 사회적 의무감, 타인에 대한 사랑 등 동적주의적 관점에 입각한 사회적 양심의 증대로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사회양심이론은 1950년..
-
사회복지의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원칙사회복지학 2022. 10. 30. 15:34
사회복지정책의 급여대상을 선정하는 것은 보편주의와 선별주의라는 두 가지 원칙에서 출발한다. 1. 보편주의 보편주의는 전국민을 사회복지의 대상자로 삼는 것을 말하는데, 시민권에 입각해 하나의 권리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지수혜 자격과 기준을 균등화한다. 예를 들어 노인을 위한 사회보장연금과 모든 취학아동을 위한 초·중등교육이 좋은 예이다. Gilbett와 Terrell(2002 : 89-90)은 보편주의 원칙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1)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 보편주의자들은 사회복지정책을 빈민이나 장애인과 같은 특정한 집단뿐만 아니라 모든 시민이 봉착하게 되는 일상적인 생활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간주한다. 보편주의자들에게 생활문제는 모든 시민이 한두 번쯤은 위기에 빠질 수 있..